"밑반찬지원서비스"저소득 지역주민 어르신들에게 밑반찬을 지원(매주 월,목)
"무료급식지원"저소득 주민들의 건강 유지 및 회복을 위한 균형 있는 점심식사 제공
"후원물품지원"이웃의 도움이 필요한 지역주민에게 김장김치, 식재료 등 후원물품 전달
"장학금지원"저소득 아동·청소년들에게 학업 정진이나 재능개발을 위한 장학금 전달
"위기가정지원"긴급후원금 지급을 통한 경제적 어려움 해소
"월동지원"지역주민가정에 월동물품 지원
"착한미용실"지역주민의 재능기부를 통해 저소득 및 독거주민에게 무료 커트, 퍼머, 염색 등 서비스 제공
"명절나눔행사"찾아가는 명절나눔행사(독거어르신 가정 직접 방문)
"어르신 나들이"거동이 가능한 지역사회요보호 어르신들의 나들이 지원(연2회)
“가정의 달 행사”가정의 달 맞이 가족관계증진 및 소외계층 정서지원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재능기부자 매칭프로그램 “키다리선생님”교육자가 필요한 청소년에게 교육재능기부자 1:1 매칭 지원
"보건의료통합봉사단"지역보호 주민 코로나 키트 전달 및 안부확인
"홀몸어르신돌봄사업"hy 사회복지재단지원 건강음료 전달
"모금회공모사업"
인테이크/스크리닝 |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통합적인 욕구를 가진 주민을 만나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다른 기관으로부터 의뢰를 받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주민의 이웃이 복지관에 제보하는 경우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주민이 복지관으로 직접 문의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
사례관리 | 당사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나 필요로 하는 욕구를 확인(사정)하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당사자와 지역사회 이웃이 함께 진행 계획을 세우고 돕습니다. 어려움과 욕구의 정도에 따라 일반/집중/위기로 구분하여 사례관리를 진행합니다. |
---|---|
사례회의 | 파악된 정보(사정)를 토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과 욕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거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관계자들이 함께 회의를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분야별 전문 기관 담당자들이나 교수님들로부터 자문을 받기도 합니다. |
중간점검 | 당사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세운 계획을 어떻게 진행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당사자와 사례관리자가 어려움을 해결하고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하였고 당사자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계획한 목표는 달성 되었는지, 진행 내용과 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지 등 사례 진행에 대한 모든 활동을 검토합니다. |
사례관리 네트워크 | 지역주민이 보다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사례관리를 진행하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들이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복합적이고 만성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주민의 경우에는 관련 기관이 함께 협력하여 돕습니다. |
---|---|
자원연계 | 당사자가 개별적으로 겪고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과 물질적 자원을 찾고 도움을 요청합니다. |
사례관리 체계 구축 | 일관성 있는 사례관리 진행을 위해 사례관리 운영지침과 매뉴얼, 사례관리 양식을 점검하고 개정하며, 사회복지시설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민관 통합사례관리 체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
슈퍼비전 | 사례관리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당사자와 함께 더 좋은 방법으로 사례관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사례발굴,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사례관리 진행, 점검, 종결 등 전반에 걸쳐 내부 슈퍼바이저와 외부 전문 슈퍼바이저로부터 자문을 받고 있습니다. |